
대한민국은 장애인의 건강증진 도모와 의료접근성 향상을 목적으로,
발의된 ‘장애인건강권 및 의료접근성에 관한 법률’이 2015년 12월 9일
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‘2017년 12월에 시행될 예정이다. 이 법을 기반
으로 국가와 지자체는 장애인 건강검진사업, 건강관리사업, 건강보건연구
사업, 건강보건통계사업, 건강교육 등 장애인의 건강에 관한 다양한 사업
을 진행을 앞두고 있다.
이러한 사회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장애여성의 건강한 삶에 대한 사회
의 법적·제도적 지원은 미비한 상태이고 장애여성은 남성 중심 사회에서
여성으로서의 성차별(sexism)과 장애인으로서의 장애차별(disabilism)로
의 이중 차별을 경험하고 있다. 이러한 차별은 개인적인 해결이 어렵다는
점에서 사회적인 차원의 해결과 지원이 필요하다.
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장애여성의 건강한 삶에 대한
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. 그를 위해 우선 장애여성을 위한 지자체의 관련
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분석하고, 장애여성에 대한 설문 및
FGI를 통해 장애여성의 건강에 관한 의식과 건강유지상의 어려움, 건강한
삶을 위한 실제 장애여성의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장애여성의 건강한 삶을
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.
본 연구가 기존의 장애인 건강에 관한 연구와 다른 점은 장애여성의
건강을 단순히 신체적으로만 바라본 것이 아니라, 여러 사회문화적 환경
요소에 영향을 받는 건강한 삶의 지표인 웰빙의 관점에서 장애여성의 건
강을 분석하여 장애여성의 삶의 지표와 욕구를 반영한 정책적 지원 방안
들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두고 있다.